야간알바 구할 때 피해야 할 공고 유형 TOP5
야간 근무 시장은 상대적으로 감독이 느슨해 불법·편법 채용이 끼어들기 쉽습니다. 아래 다섯 유형은 실제 피해 사례에서 가장 자주 등장한 공고 형태이니, 지원 전 반드시 걸러내세요.
순위 | 피해야 할 공고 유형 | 왜 위험한가? | 확인·대처 팁 |
---|---|---|---|
1 | “초단기 고수익 보장” 시급·일급이 업계 평균의 2–3배 이상 |
불법 다단계·유사 투자권유, 불법 유흥·도박업소 가능성 신분증·계좌번호 선요구 사례 다수 |
시급이 터무니없이 높다면 사업자등록증·업종코드 조회 → 없으면 즉시 차단 |
2 | 근로계약·4대 보험 언급 전무 | 산재·임금체불 시 법적 보호 장치 부재 “현금 지급”·“프리랜서 계약”으로 책임 회피 |
면접에서 근로계약서 제공 여부를 명시적으로 질문 |
3 | “숙소 제공” 강조 + 주소 비공개 | 열악한 환경 강제 거주 가능성 임금에서 숙박·식대 명목 공제 |
숙소 사진·월 공제금액을 서류로 요구, 계약 전 직접 방문 |
4 | “면접비·교육비” 선납 요구 | 불법 도박·환전 콜센터의 대표 수법 비용 전가 후 잠적 사례 |
채용 과정에서 어떤 선금이든 요구하면 99 % 사기, 즉시 신고 |
5 | 근무 내용 불명확 + “쉬운 업무” 반복 | 불법 촬영물 분류·출처 불명 택배 상·하차 등 위험 작업 가능성 | 업무 리스트·장소·시간을 서면 요구, 회피하면 지원 중단 |
추가 주의사항 & 체크포인트
- 사업자등록 여부 확인 – 국세청 홈택스 사업자등록 조회로 업종·폐업 상태 점검
- 비공식 메신저 면접 경계 – 텔레그램·디스코드만 요구 시 개인정보 탈취 위험
- 심야 배달·대리운전 – 플랫폼 가입 전 보험료·산재 보장 범위 비교
- 임금체불 대비 – 근로계약서 사본과 근무 스케줄 캡처를 반드시 보관
- 유흥·사행성 업소 주의 – 청소년 고용금지 업장 여부·단속 이력 확인
TIP: 공고가 의심된다면 고용노동부 상담센터(☎ 1350)나 국민신문고에 사업자·업종의 위반 이력을 사전 문의하세요. “고수익”보다 투명한 계약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두는 것이 피해를 막는 지름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