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적금 만기 후 이자는 단순한 저축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세후 수령액 계산법을 정확히 알고 있으면 전역 시 받을 금액을 예측하고, 향후 자산 계획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이 글에서는 이자 계산법, 세금 공제 후 실제 수령액, 은행별 차이점까지 꼼꼼히 정리해드립니다.
목차
군적금 이자 계산법
군적금은 복리 또는 단리로 계산되며, 보통 월복리 방식을 채택합니다. 원금과 이자는 매월 합산되어 다음 달 이자에 영향을 주는 구조입니다.
- 기본 계산식: 적립금 × (연이율 ÷ 12) × 개월 수
- 복리 효과: 이자에 이자가 붙는 구조로 수익 증가
군적금 계산기를 활용하면 간편합니다.
2025년 이자율 기준 예시
주요 은행의 2025년 기준 군적금 금리 평균은 5.0~6.0%입니다. 여기에 정부지원금 추가 시 최대 12%까지 이자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은행 | 기본 이율 | 우대 조건 | 최대 이율 |
---|---|---|---|
국민은행 | 5.0% | 비대면 가입 + 자동이체 | 6.0% |
신한은행 | 5.2% | 전역 후 카드 발급 | 6.2% |
우리은행 | 5.1% | 복무기간 유지 | 6.0% |
군적금 이자율 비교도 함께 확인해보세요.
세후 수령액 계산 방법
이자소득세(14%) + 주민세(1.4%)가 기본적으로 공제됩니다. 총 이자의 15.4%가 세금으로 빠지므로 세후 수령액은 약 84.6% 수준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 예시: 총 이자 100만원 → 세후 약 84만6천원 수령
- 정부지원금: 비과세 항목으로 100% 수령 가능
아래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세요!
군적금 세금 공제 기준도 꼭 확인하세요.
실제 수령액 시뮬레이션 (18개월 기준)
매달 40만원씩 18개월 적립 시, 세후 수령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 원금: 약 720만원
- 이자 (세전): 약 57만원
- 세후 이자: 약 48만2천원
- 총 수령액: 약 768만2천원
군적금 총수령액 계산도 참고하세요.
정부지원금 포함 시 수령액
국가 지원금 월 최대 4만원 × 18개월 = 72만원 추가 수령 가능하며, 이는 비과세로 전액 수령됩니다.
- 지원 조건: 일정 근속 + 전역 후 서류 제출
- 전역 후 은행 방문 필수
군적금 정부지원금 신청법도 함께 보세요.
이자 수령 시 주의사항
이자 수령 시 아래 사항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 해지일에 따라 이자 차이 발생 가능
- 세후 금액 기준으로 입금 여부 확인
- 정부지원금은 별도 입금 처리됨
모든 이자와 지원금은 통장 입금 내역으로 기록되므로 해지 전후 꼭 확인하세요.
군적금 해지 후 이자 수령 시기도 체크하세요.
함께보면 좋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