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적금 만기가 되면 자동해지 또는 수동해지 방식에 따라 출금 처리 방식이 달라집니다. 이 글에서는 입금계좌 변경 및 출금방법에 대해 단계별로 자세히 안내해드리겠습니다.
군적금 만기되면 자동으로 해지될까?
군적금은 전역일 기준으로 자동해지 처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자동해지 설정을 한 경우, 별도 신청 없이도 전역일 기준으로 정산되어 계좌로 이체됩니다.
- 자동해지: 신청 불필요, 전역일에 자동 입금
- 수동해지: 본인이 직접 해지 요청해야 출금 가능
본인의 설정 여부에 따라 자동 또는 수동으로 해지되므로 반드시 미리 확인해야 합니다.
전역일 확인을 통해 정확한 해지 시점을 체크해보세요.
군적금 입금계좌 변경하는 방법
군적금 해지 시 입금받을 계좌를 바꾸고 싶다면, 전역 전 미리 변경 신청을 해야 합니다. 보통은 병영생활관에서 군적금 계좌 변경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 국군재정관리단 사이트 접속
- 본인 인증 후 → ‘적금 관리’ → ‘입금계좌 변경’
- 신규 계좌번호 입력 및 저장
변경 시점은 전역일 최소 3일 전까지 완료해야 합니다.
국군재정관리단을 통해 온라인으로도 처리 가능합니다.
수동해지 출금방법 (창구 방문 시)
수동해지인 경우, 전역 이후 해당 은행 지점을 방문해 적금 해지 및 출금을 진행해야 합니다. 이때 군 복무확인서 또는 전역증을 지참해야 합니다.
- 필요서류: 신분증, 군복무확인서, 통장 또는 계좌번호
- 진행시간: 평균 10~15분 소요
은행 창구에서 군적금 해지 사유를 설명하면, 군복무 확인 후 바로 출금이 가능합니다.
군복무확인서 발급도 미리 준비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군적금 해지 후 입금까지 걸리는 시간
자동해지의 경우 보통 전역 당일 오후 또는 익일 오전에 지급되며, 수동해지는 해지 신청 후 1시간 이내 입금됩니다.
해지 방식 | 입금 시간 |
---|---|
자동해지 | 전역일 당일 오후~익일 오전 |
수동해지 | 은행 방문 후 즉시(1시간 이내) |
아래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세요!
전역 준비 팁도 함께 체크하면 도움이 됩니다.
자동 vs 수동해지, 어떤 방식이 유리할까?
자동해지는 간편하지만, 입금계좌 변경이나 추가 납입 등을 고려한다면 수동해지가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 자동해지 장점: 간편함, 전역일에 자동 처리
- 수동해지 장점: 입금계좌 조정, 이자 최종 확인 가능
본인의 상황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군적금 수동해지 방법도 미리 확인해두세요.
주의사항 및 꿀팁 정리
전역 전 입금계좌 미변경 시, 기존 급여 계좌로 입금됩니다. 전역일 3일 전까지 변경이 필수입니다.
군적금은 전역 후 3개월이 지나면 해지가 불가해질 수 있으니, 반드시 기한 내 처리하세요.
함께보면 좋은 정보